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아름다운 우리말] 감정 공유에 대하여

요즘 저는 감정과 언어에 대한 책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언어학을 학문으로 공부할 때는 왠지 감정에 대한 부분을 빼고 연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정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객관적이지 않다는 생각을 해서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감정은 이성과 달리 부정적으로 바라보게 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감정적이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부정적 의미입니다.     그런데 감정과 언어를 깊게 다루고 있는 책이 있어서 제자들과 즐겁게 공부하고 있습니다. 여러 주제가 흥미로웠지만 그중에서 감정의 공유에 대한 내용이 오랫동안 가슴에 남아있습니다. 자신에게 일어난 감정을 누구와 공유하는가 하는 이야기가 주를 이루고 있는 글이었습니다. 우리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감정의 변화가 찾아오면 혼자서 되짚고, 삭히고, 삼키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기도 합니다.     글에서는 8세 이하의 아이들은 가장 감정의 공유를 많이 하는 대상은 부모라고 합니다. 당연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부모에게 그날 있었던 일은 재잘대는 아이의 모습은 너무나 자연스럽습니다. 그런데 문득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은 친구들에게 이야기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하지만 답은 아니었습니다. 서로의 감정을 말로 공유해도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던 겁니다. 생각해 보면 서로 어린 처지에 심각한 이야기를 나누는 게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8세가 넘어가면 친구와 감정을 나누는 일이 늘어납니다. 그리고 어느 순간부터는 부모보다도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 많아질 겁니다. 이른바 성장하는 것이고, 부모의 곁을 떠나가는 겁니다. 하지만 이때도 여전히 부모는 중요한 감정 공유의 대상입니다. 서로 관계가 잘 유지된다면 나를 가장 잘 이해해주고 응원해 주는 사람은 역시 부모님인 겁니다. 친구라 하더라도 모든 것을 이야기할 수는 없을 겁니다.   그러다가 나이를 먹고 결혼을 하게 되면 배우자가 중요한 감정 공유의 대상이 됩니다. 삶에서 심각한 문제가 다가오는 것은 부부간의 감정 공유가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일 겁니다. 밖에서 일어난 일을 집에서는 절대로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꼭 좋은 일은 아닙니다. 서로를 위하는 일일 수는 있으나 편하게 서로 감정을 나누는 일이 외로움과 우울감에서 빠져나오는 일일 겁니다. 배우자에게도 말을 못하는 일이 많아지면 삶은 고통이 됩니다.     부모님이 살아계시면 늘 우리의 가장 든든한 감정의 공유자입니다. 나이가 많아지면 부모보다 배우자와 감정 공유를 하는 비율이 높아지는데 그 중요한 원인은 부모님이 더는 안 계시기 때문입니다. 부모님이 장수하시는 것은 그러한 의미에서 자식에게 행복한 일입니다. 내 이야기를 들어주고, 나를 응원해주시는 분이기 때문입니다. 종종은 오랫동안 병상에 있는 부모님도 내 감정 공유의 대상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효도는 나를 위한 일이기도 합니다.   약간 슬프면서도 재미있는 것은 나이 든 부부도 아내의 경우는 감정 공유의 대상이 남편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친구나 동네 사람들이 여전히 중요한 감정 공유의 대상이 됩니다. 그런데 남편의 경우는 나이를 먹을수록 감정 공유의 대상이 거의 아내로 한정이 된다고 합니다. 저는 이 이야기를 보고 금방 공감이 가서, 재미있기도 슬프기도 하였습니다.     한편 어떤 대상은 사람이 아니거나 살아있지 않아도 감정 공유의 대상이 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동물 친구의 경우가 대표적이지요. 내 말을 알아듣지 않아도 우리는 동물 친구와 감정을 공유합니다. 식물도 마찬가지입니다. 꽃과 나무와 대화를 나눕니다. 어떤 이는 바위와 대화를 나누고, 산과 대화를 나누고, 바다와 감정을 공유하기도 합니다. 모든 것에 영혼이 있다는 말은 틀린 말이 아닙니다. 나와 감정을 공유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저는 기도도 중요한 감정 공유라고 생각합니다. 내 이야기를 들어줄 대상을 찾는 겁니다. 고통스러움에 새벽에 깨었을 때 내 이야기를 들어주는 분 앞에서 스르르 눈물을 흘릴 수 있는 것은 참 고마운 일입니다. 감정 공유는 행복의 시작입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감정 공유 감정 공유 동물 친구 초등학교 저학년

2023-11-05

[아름다운 우리말] 어깨춤이 절로 나다

 음악이 연주자와 청중으로 명확히 구분이 될 수 있다면 춤의 경우에는 추는 이와 보는 이의 구별이 불분명합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일체감을 느끼게 되죠. 춤을 추는 사람은 춤 속에서 무아지경(無我之境)을 경험하게 됩니다. 무아지경(無我之境)의 사전상의 정의는 ‘정신이 한곳에 온통 쏠려 스스로를 잊고 있는 경지’이지만 원래 무아지경은 나와 나 아닌 것의 경계가 사라지게 되는 경험입니다. 춤을 보는 사람 역시 다른 의미에서 무아지경을 경험합니다. 나와 대상의 경계가 사라지는 것입니다. 이를 물아일체(物我一體)라고 합니다. 무아지경이나 물아일체나 모두 인위적인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둘이 아닌 경지 즉 불이(不二)의 경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말에서 ‘절로 나다’라는 표현이 사용되는 상황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우는 ‘한숨, 눈물’ 등이 있습니다. 주로는 걱정이나 슬픔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참으려고 해도 참을 수 없는 상황이죠. 물론 한숨이나 눈물은 우리의 육체와 심리에 유익합니다. 한숨은 막혀서 답답한 숨을 뚫어주는 것입니다. 한숨은 크게 쉬는 숨이라는 의미입니다. ‘한’은 ‘크다’는 뜻이죠. 한숨은 답답할 때만 쉬는 게 아닙니다. 안도의 한숨이라는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걱정에서 풀려나왔을 때도 한숨을 쉽니다. 눈물도 비슷합니다. 슬픔의 눈물도 있지만 기쁨의 눈물도 있습니다. 우리의 감정은 상호적입니다. 반대편에 있는 듯이 보이나 서로 통합니다.    우리의 춤은 ‘절로 나다’라는 표현에 잘 맞는 예술입니다. 흥겨운 음악이 나오면 나도 모르게 어깨가 들썩입니다. 어깨춤이 나오는 것이죠. 우리말에서는 기쁜 상태를 ‘어깨춤이 절로 난다’고 표현합니다. 그만큼 춤은 우리의 기쁨을 표현하는 행위입니다. 누군가 춤을 추면 절로 나오는 춤은 추는 이의 모습과 하나가 됩니다. 추는 이의 손동작에 따라 내 손도 올라가고, 내려오고, 곡선을 그립니다. 발도 마찬가지죠. 자연스레 리듬을 타게 됩니다. 어깨춤이 절로 나오는 공연이 좋은 공연입니다. 보는 사람과 추는 사람이 하나가 되는 춤이 좋은 것입니다. 역시 불이의 경지입니다.      춤은 몸을 움직인다는 점에서 역동적입니다. 노래나 연주도 감정을 위로하지만 육체적인 측면에서는 춤을 따라갈 수 없습니다. 춤은 손과 발, 머리, 허리, 몸을 움직이는 예술입니다. 느리게 펼쳤다가 빠르게 되감기도 하고. 발을 구르며 달리기도 합니다. 조금만 지나도 몸에 땀이 흐르고, 몸과 마음속에 담긴 잡념이 사라집니다. 그 순간 나를 잊는 것입니다. 추는 이의 카타르시스와 엑스터시의 상태가 보는 이에게 전달되고, 보는 이의 춤과 움직임이 다시 추는 이의 감정 속으로 들어옵니다. 춤은 추는 이에게도 보는 이에게도 치유가 됩니다.    하는 사람이나 보는 사람이 같은 감정을 공유하게 되는 것을 거울 효과라고 합니다. 예를 한 아이가 울면 다른 아이도 웁니다.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감정 공유의 상태입니다. 노래를 듣고 흥얼거리게 되는 것이나, 춤을 보면서 나도 모르게 춤을 따라하는 것은 모두 거울 효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울 효과의 핵심은 감정의 공유(共有)라는 점에서 춤을 통해 감정이 공유되고 이입(移入)되는 경험을 하게 되는 겁니다.   한국 음악의 시작은 무속에 닿아 있습니다. 무속의 몸짓과 행위가 음악을 만나서 춤으로 형상화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무속에서 춤은 치유와 관련이 됩니다. 춤을 추는 개인에게도, 춤을 보는 사람에게도 치유였습니다. 우리 모두 춤을 추면서, 보면서 어깨춤이 절로 나기 바랍니다. 행복하기 바랍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어깨춤 감정 공유 한숨 눈물 이의 감정

2021-12-2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